Virtual DOM

React에는 가상의 DOM 객체가 있다(Vritual DOM)

실제 DOM의 사본 같은 개념, React는 실제 DOM 객체가 아닌 가상의 DOM 객체에 접근, 전 후를 비교하고 바뀐 부분만 적용


DOM(Real DOM)


JavaScript와 같은 스크립팅 언어가 <html>, <head>, <body>와 같은 태그들에 접근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태그들을 트리 구조로 객체화 시킨 것, 즉 브라우저가 트리 구조로 만든 객체 모델

DOM


DOM은 UI 상태가 변경될 때마다 해당 변경 사항을 나타내기 위해 업데이트됨, DOM을 조작하는 정도가 잦다면 성능에 영향, DOM의 렌더링은 브라우저의 파워, 즉 브라우저의 구동 능력에 의존하기 때문에 DOM의 조작 속도는 느려짐


DOM의 조작 속도가 느려지는 이유


DOM의 구조는 계층적 구조의 트리, 트리는 저장된 데이터를 더 효과적으로 탐색을 위함, 따라서 DOM은 JavaScript와 같은 스크립팅 언어가 접근하고 탐색하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변경 및 업데이트 속도 또한 빠름.

but,

DOM이 업데이트가 된다는 것은 결국 브라우저의 렌더링 엔진 또한 리플로우(Reflow)한다는 것

DOM 트리를 재구축함으로써 재랜더링 과정을 거쳐 UI를 업데이트 해야 됨

브라우저의 리플로우와 리페인트 과정은 레이아웃 및 페인트에 해당하는 재연산을 해야 하기 때문에 속도가 느려짐

e.g. 6개의 컨텐츠 중 하나만 변경해도 변경된 컨텐츠와 함께 다른 5개 또한 업데이트 된다.

바뀐 부분만 비교해서 렌더링하자 - Virtual DOM 탄생


Virtual DOM


가상 DOM 객체는 내용을 직접 변경하는 것은 아님

  • 가상의 UI 요소를 메모리에 유지
  • 유지시킨 가상의 UI 요소를 ReactDOM과 같은 라이브러리를 통해 실제 DOM과 동기화

실제 DOM을 조작하는 것은 브라우저 화면에 그리기 때문에 느림, 가상 DOM은 화면에 그리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속도가 빠름


가상 DOM이 빠른 이유


  1. 상태가 변경이 되면 다시 새로운 가상의 DOM 트리가 만들어짐
  2. 이전의 가상의 DOM과 이후의 가상의 DOM의 차이 비교
  3. 가상의 DOM은 실제 DOM에 변경을 수행할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을 계산
  4. 실제 DOM은 최소한의 작업만 수행해도 렌더링 가능
Virtual DOM update



Virtual DOM 형태


Virtual DOM 형태


const vDom = {
	tagName: "html",
	children: [
		{ tagName: "head" },
		{ tagName: "body",
			children: [
				tagName: "ul",
				attributes: { "class": "list"},
				children: [
					{
						tagName: "li",
						attributes: { "class": "list_item" },
						textContent: "List item"
					}
				]
			]
		}
	]
}

댓글남기기